반응형
상수
변수의 값을 고정하고 이후 변경할 수 없도록 합니다. 로직 내에서 여러 번 사용해야하는 값을 고정하여 혹시 모를 변경을 방지하고 코드의 일관성과 안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.
키워드
- const TYPE NAME = VALUE
- 키워드를 통해 선언하면서 동시에 값을 입력해줘야만 합니다. 이후 수정할 수 없습니다.
- 스택 메모리를 활용하기 때문에 더 빠르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.
- int, string, enum, float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.
- readonly TYPE NAME = VALUE
- 값의 입력을 선언과 동시에 진행하지 않고 값은 생성자에 따라 다르게 입력할 수 있습니다.
- 힙 메모리를 활용하기 때문에 조금 느린 접근을 합니다.
- 모든 타입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
그렇다면 어느 때, 무엇을 사용해야할까?
간단한 코드에서 속도를 우선할 때는 const, 이후 확장성과 유연성이 강조되는 긴 코드에서는 readonly를 활용합니다.
위 내용은 어디까지나 개인 학습 중, 정리한 내용이기 때문에 잘못된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.
부족한 설명이나 잘못된 내용에 대한 지적은 언제나 환영입니다.
반응형
'면접준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코루틴이란? (0) | 2024.07.04 |
---|---|
힙과 스택이란? (0) | 2024.06.29 |
객체지향프로그래밍이란? (0) | 2024.06.27 |